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1.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1.1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사항
무결성 : 데이터가
만족해야
할
제약조건
만족
일관성 : 저장된
데이터와
질의
응답이
일치하여
모순성이
없어야
함.
회복 : 시스템에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
전의
일관된
상태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복구
가능
보안 : 불법
접근에
대한
보호
가능
효율성 : 응답시간
단축, 저장
공간
최적화, 시스템의
생산성(처리도) 등을
고려
데이터베이스
확장 : 응용과
데이터의
확대
1.2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
1.2.1 데이터베이스
계획
1.2.2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해야
할
정보
내역을
분석하여
제공하고, 서비스
개요
및
기능
개요
등을
분석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에
따른
업무와
개인에게
요구되는
사항을
세밀하게
분석한다.
사용자와
응용
환경
범위에서의
주요
대상
범위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용자
집단이
검증하고, 운영환경과
처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의
흐름, 입력
및
출력
데이터
등을
정의한다.
분석
정적
정보
구조
요소 : 개체, 속성, 관계성, 제약
조건
등의
요구조건
분석
동적 db 처리
요구
조건 : 트랜잭션
유형, 실행
빈도
등의
요구조건
분석
범
기관적
제약
조건 : 경영
목표, 정책, 규정
등의
요구조건
분석
1.2.3 개념
데이터
설계
표현하고자
하는
현실
세계를
정보
모델링에
의해
개념적
모델로
전환하여
정보
구조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개념
데이터
모델은
추상화된
최상위
수준의
데이터
설계라고
할
수
있다.
개념적
설계
단계는
데이터
조직과
표현을
중심으로
한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응용을
위한
데이터
처리에
중심을
둔
처리
중심
설계인 트랜잭션
모델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념
스키마
모델링
종류
뷰
통합
방법
속성
합성
방법
외부
지향적
방법
혼합
방법
트랜잭션
모델링
1.2.4 논리적
데이터
설계
개념적
모델을
데이터
모델링에
의해
논리적
구조로
정의하여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결부된
논리적
모델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개념
데이터
설계가 DBMS 및
하드웨어
구조와
완전히
독립된
것이라면, 논리
설계에서
만들어지는
모델은
이
개념적
모델을 DBMS가
처리할
수
있도록
사상(mapping)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논리
데이터
설계를
위해
필요한
내용
개념
데이터
모델
운영
요구
사항
상위
수준의
프로그램
명세
DBMS 특성
일관성
제약
조건
상위
레벨의
프로그램
명세
1.2.5 물리적
데이터
설계
출처 - http://w.nya.kr/doku.php?id=%EC%88%98%EC%97%85:%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A%B4%80%EA%B3%84_%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_%EC%84%A4%EA%B3%84